관련링크
본문
한국 민족의 역사와 이념을 상징하는 국기가 태극기(太極旗)로 된 것도 역리(易理)를 얼마나 소중히 여겼는가를 단적으로 보여 주는 것입니다. 이는 우연한 사실이 아니라 역사적 배경과 사상적 흐름에 있어서 역학 사상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증거라 하겠습니다.
역이라 하면, 일반적으로 중국의 고전인 ≪주역≫을 지칭하고 중국 사상으로 생각합니다. 하지만, 역이란 단순히 ≪주역≫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, 연산(連山)·귀장(歸藏)·주역을 3역(三易)이라 하듯이, 여러 가지 역이 있을 수 있으며, 특히 ≪주역≫이 전래하기 이전부터 내려오는 한국 상대(上代)로부터의 신앙과 사유 방식의 발상이 역리와 관련, 발전해 왔습니다.
한국 역학은 시대적으로 내용을 달리해 고대의 점술, 중세의 신비주의적 자연론 내지 천문·역법(曆法)·의약 등의 과학 사상을 볼 수 있으며, 주자학 수용 이후에는 주로 윤리적·철학적 원리로 발전하였습니다.
이를테면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라든지, 이제마(李濟馬)의 사상의학(四象醫學) 등은 역리가 한국 민족 문화 창달에 지대한 역할을 한 뚜렷한 사례입니다.
[네이버 지식백과] 역학 [易學] (한국민족문화대백과, 한국학중앙연구원)